24.12.21
제품개발연구소 (Engineering Research Center)
1983.5.11제가 입사할때 근무 했던 제품개발연구소
본관건물이 유일하게 우뚝 서 있습니다.
유일하게 제품연구소라는 곳입니다.
기술관리부, 시험연구부, 소형설계부, 대형설계부,디자인실
중앙실험실, 엔진연구부 가 전부다 입니다. 이곳에서
포니, 스텔라, 엑셀, 프레스토가 연구개발한 곳이기도 합니다.
창호만 개선하고 현재나 지금이나 동일한 구조인데 약10년전
울산공장 사무실 건물은 대대적으로 1차 외관 작업을
시작했습니다만 사무실 내부는 형편없었지요
그후 3공장 사무실을 중심으로 대대적으로 본사에서
예산을 잡아서 최 첨단 과학이 포함된 사무실 구조
혁신을 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외관 커버를 더 씨워서 현대 감각에 시설관리부에서
엄청난 예산을 들려 3공장 본관을 중심으로 수선하였는데
냉방기 드래인 파이프 누수 방수 등으로 문제가 생겼습니다.
왼쪽2층 아래가 시험연구부소속을 둔 우리 사무실입니다.
1층은 연구소 업무부, 디자인실 ,기술관리부 , 시험연구부
2층은 소형설계부, 대형설계부, 외동 엔진시험부, 중앙시험실
내가 입사할 당시 정주화상무 *제품연구개발소장, 생산본부장은
이양섭수석부사장, 관리본부장은 강윤식 부사장 , 전성원 기획실장
생산부본부장 장낙용 전무, 박병재 내외장총괄상무, 화물담당
노관호이사 이철근 상무 대형사업부 제품연구소
대형제품개발연구담당 공장관리부 김명관 상무 ,
케나다 진출 신항수 상무, 케나다 주재원 박상학
백효휘 이사님 등있다.
민정식 승용담당이사, 송준국 동경사무소 이사, 이승복 소형담당 이사, 박태업 업체개발이사, 구회문이사 전산담당,
김수중 판매이사, 한상준 , 이수일, 이충구, 박광남, 정달옥 이진항 관리담당총괄 이사
현대차가 여기까지 도달하기 까지 불철주야 노동을 하신 직원들도 있지만 임원여려분들의 리드쉽이
있었기에 가능 했으리하 생각 하고 '포니'가 개발되지 않았드라면 현대차의 성장도구로 일어선 게기
가 아닌가 싶습니다.
1983.6월 스텔라가 양산을 게시했습니다. 당시 입사 하고 한달 뒤였는데 그 기념으로 스텔라 디지털 탁상 시계를 받았다.
스텔라는 불황과 판매부진을 이겨내고 270억을 투자하여 스텔라를 천고만고 끝에 개발된 상품이다. 포니의 미니차에
완전 탈피하여 중형세단인 셈이다.
지금 4공장인데 과거 대형조립부 버스와 트럭 특장차가 생산되는 공장 일부 입니다.
구정문 이라고 하는데 5층건물의 비생계획부 건물이라고도 합니다.
바로 이곳이 제품개발연구소 (Engineering Research Center) 입간판이 설치 되었는데 아직 사진한장 없어서 지금까지
찾고 있는 중이다. 생산차가 있는 아래는 하천입니다. 복개천이라도 해도 됩니다. 생태계가 살기 위해서는 좀 거석합니다.
양정동 사택 마골산 자락에서 하천이고 태화강으로 합류 되기도 하지요 . 행단보도에 있는 자리에 (Engineering Research Center) 입간판이 있었는데 정말 사진 한장이라도 보고 싶네요 .
코티나파크파이브 생산된 대형조립부 지금은 포터공장으로 가동되고 있다. 저 끝에 있는 5층건물은 예비군 여단이고
3층이 직업훈련소가 있는 사무실이다. 4공장 본관사무실은 83년도 당시 의무실이다.
4공장 정문 앞 프레스1공장이다. 치공구부 등등 회사의 입간판 홍보용 전광판이 화려하게 우뚝선걸 보니 현대차가
성장한것은 사실입니다.
주간연속2교대라는 것 때문 출퇴근 형태가 다양하게 변했습니다. 쉽 없이 06시40분 컨베어가 돌며 생산되면서
밤 12시10분까지 주간8시간 야간8시간으로 동일 하게 근무 합니다. 직원들의 2직 출근하는 모습.
구정문이라고 칭하고 4공장문이라고 합니다. 울산공장중에서 정문 다음 오래된 건물입니다. 사내 안전환경팀에서
횡단보도 색상을 흰색에서 노랑색으로 변경 했습니다.
프레스1공장 포니를 생산했던 공장인데 과거 치공구부 , 금형설계를 위해 CAD CAM 설계 담당했던곳이고
IBM사에서 장비를 임대받아서 금형설계 공정을 단축시키는데 일조를 했던 곳이기도 합니다.
1공장 프레스 공장입니다. 포니 보디가 생산된 공장입니다.
본관건물도 증축을 했습니다. 유일하게 전기충전소 입니다. 소나무가 아름더리 군집되어 있고 공장내 조경수가
우리나라에서 제일 많은 소나무류 공장조경수를 자랑합니다.
양정벌판이 세계자동차 브랜드 가치와 본관건물입니다. 1공장 의장, 도장공장이 보이네요^^
50년전에 건축한 본관건물인데 저 끝단부위는 증축을 건물입니다. 작으면서 웅장한 현대차 본관 건물
울산공장 정문입니다. 완전 탈 바꿈 했습니다. 저도 마음에 듭니다.
4각면도된 홍보전광판이 인상적입니다. 본관정문
본관 잔듸밭입니다. 형태가 많이 변화를 가져왔습니다. 점심시간에 운동할수 있도록 길도 나와 있네요 .
한창 공사중인 현대차 전기차 공장 25년도말 가동을 목표로 진행하고 있습니다. 전기차 흐름이 심상치 않아서
공장신축이 다 된다해도 정상가동율은 점치기 어렵네요>> 전가차 안정화의 핵샘인 밧대리 화재로 인해 대응방안 등
다양한 연구개발이 좀더 심도 있게 사화적 흐름을 지케봐야 합니다.
승용시작부 터가 이렇게 변했습니다.
사내주유소가 3번째 이동변경 되었습니다. 전기차공장이 들어 서면서 모든페턴이 변경되면서 울산총무팀 사내주유소도
변화를 거듭했습니다.
'3.인맥(人脈) > ▶현대차42年(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옥정 돼지국밥전골 (0) | 2025.02.12 |
---|---|
전부기 (0) | 2025.01.15 |
'24.집수리봉사 (2) | 2024.12.18 |
차기환 자녀결혼식 (0) | 2024.12.13 |
입사동기 만남 (0) | 2024.11.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