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하착
그 마음을 놓아라
처음 우리가 이 세상에 왔을 때
그리고 마지막
우리가 이 세상을 떠날 때
우린 빈 손으로 왔으며
빈 몸으로 왔다가
빈 몸으로 가야 한다는 것을 잘 압니다.
그러나 우린 대부분
태어남에서 부터 죽음에 이르기까지
끊임없이 본래로 비었던 손을
가득 채우는데 급급해 하며
세상을 살아 왔습니다.
우리네 인생의 목표가 어쩌면
그렇게 채우는 욕심일 것입니다.
한없이 내 것을 늘려 나가는
끊임없이 붙잡는 욕심이 때문에...
돈을 붙잡으려 발버둥치고...
명예를, 지위를, 권력을, 지식을, 이성을...
그렇듯 유형무형의 모든 것들을
무한히 붙잡으며
이 한 세상 아둥바둥 살아갑니다.
이것이 우리네 삶의 모습입니다.
무한히 붙잡는 삶...
붙잡음으로 인해
행복을 얻고자 하는 삶-
그러나 아이러니 하게도
우리가 그렇게 추구하고
갈구하려고 하는 잡음! 그 속에서
우리가 그렇게
버리고자 갈망하는 고(苦),
아! 괴로움!
괴로움이 시작됨을 알아야 할 것입니다.
붙잡고자 하지만 잡히지 않을 때
괴로움은 우리 앞을
큰 힘으로 가로막게 될 것입니다.
이미 잡고 있던 것을 잃어버릴 때,
우린 괴로움과 한바탕
전쟁이라도 버려야 할 듯 합니다.
그것이 돈이든 명예이든 지식이든
그 무엇이든
우리의 욕망을 가득 채워 줄 만큼
무한히 잡을 수 있는 것은
이 세상 어디에도 없다는 것을
우린 너무도 모르고 있는 듯 합니다.
잡음으로 인해 행복하고저 한다면
그 행복은 절대
이룰 수 없음이 진리의 참모습입니다.
물질은 인연따라
잠시 나에게 온 것 뿐이지
그 어디에도 내 것이란 것은 있지 않습니다.
그러나 우리들은
인연따라 잠시 온 것을
내 것이라 하여
꽉 붙잡고 놓지 않으려 합니다.
바로 내 것이라고
꽉 붙잡으려는 그 속에서
그 아상(我相) 속에서
허우적거리며 괴로움은 시작됩니다.
내 것을 늘림으로 인해서는
잡음으로 인해서는
결코 행복이며
진실한 사랑도 자유를 구할 수 없습니다.
도리어 그동안 내가 얻고자 했던
붙잡고자 했던 그것을
놓음(放下着)으로써 행복을 얻을 수 있습니다.
무소유가
전체를 소유하는 것이라 했습니다.
놓음이 전체를 붙잡는 것입니다.
크게 놓아야 크게 잡을 수 있습니다.
나... 내 것...이라는
울타리를 놓아버려야
진정 내면의 밝은
참 나를 드러나게 될 것입니다.
마음을 비우고
욕심의 굴레에서 벗어남으로
비록 마음은 홀가분 할 것입니다.
놓음...
방하착(放下着)은
지금까지 내가 살아왔던 삶과
어쩌면 정면으로 배치되는 삶이기에
힘들고 어려운 듯 느껴집니다.
그렇게 선입견을
녹이기는 어려워 보입니다.
그러나 방하착(放下着)!
그 속에 불교 수행의
모든 체계가 고스란히 녹아 있습니다.
부처님 가르침이 모두 들어 있습니다.
방하착...
방(放)은 놓는다 는 뜻이며
착(着)은 집착 걸림을 의미합니다.
즉 본래 공한 이치를 알지 못하고
온갖 것들에 걸려
집착하는 것을 놓아야 한다는 말입니다.
특히
무아(無我)의 이치를 알지 못하고
나- 내 것에만
끄달려 이를 붙잡으려하는
어리석은 아집(我執)을
놓아야 한다는 말입니다.
하(下)라는 것은 아래라는 의미이지만
그 아래는 모든 존재의 가장 깊은 곳
그 아래에 있는 뿌리와도
같은 우리의 참불성
한마음 본래면목 주인공
참나를 의미하는 것입니다.
일체 모든 끄달림 걸림 집착을
용광로와 같은 한마음
내 안의 참 나의 자리에 놓으라는 것입니다.
우리 이웃님들!!
일체중생이 행복 하길 축원합니다.
언제 어디서나 순간순간
찰라찰라 화평하시고 안정하소서!-
'3.인맥(人脈) > ▶기도와 산사(卍)'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유암 , 은하사, 동림 (0) | 2024.07.06 |
---|---|
도솔암 (0) | 2024.07.06 |
등용사 하계수련대회 (0) | 2024.07.06 |
등용사 (0) | 2024.07.06 |
통도사 여름밤의 암자기행 (0) | 2024.07.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