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blog.kakaocdn.net/dn/77c18/btsnw0cukBR/DLC8sSc5dZQk7HYGBw2PzK/img.gif)
![](https://blog.kakaocdn.net/dn/bTNAxt/btsnzE7zomz/8kinM57NNp4q21I5dCOpik/img.jpg)
꼭 한번 들어 보세요^^ 우리 엄마를 연상하는 생각이 눈 앞을 가립니다.
엄마가 휴가를 나온다면 / 정채봉
하늘 나라에 계신
엄마가
하루 휴가를 얻어 오신다면
아니 아니 아니 아니
반나절 반시간도 안된다면
단 5분
그래, 5분만 온대도
원이 없겠다
얼른 엄마 품속에 들어가
엄마와 눈맞춤을 하고
젖가슴을 만지고
그리고 한 번만이라도
"엄마!"
하고 소리내어 불러보고
숨겨놓은 세상사중
딱 한 가지 억울했던
그 일을 일러바치고
엉엉 울겠다.
정채봉 시인의 '엄마가 휴가를 나온다면'
본 詩는 2/21(일)) 오전 11:00~
嶺南 알프스 高獻山 1,034M 登山을 하는데
FM Radio 88.3MhZ(불교 본 방송)
'아름다운초대' 코너에서 진행하는
'텔랜트김혜옥'님께서 進行하는 프로그램이였습니다.
아주 구수하게 시 朗讀과 背景音樂을 겯들어서
나오곤 했습니다.
그 시가 이시(詩)입니다.
등산중이다 보니 이 詩를 배낭(背囊)에 있는 메모지에
기록을 놓첬습니다. 너무나 난 코스 여서
안전이 우선이자나요 ^^
그리고 난후 그 시가 늘 머리속에 스처 갔습니다만
제목은 엄마의 외출 시인은 정 채 **
이렇게만 알수 있었습니다.
잘 알고 있는 知人들에게 얘기를 했지만
재가 어렴풋이 알다 보니 알수가 없다고만
했습니다.
용기를 내어 蔚山佛敎放送局의 도움을 받아
서울 불교방송 담당PD선생님에게 그 사연을 알렸더니
곧 바로 연락이 왔습니다.
김혜옥 선생님께서 진행하는 '아름다운초대'
불교방송에 나온 시가 맞다고 하더군요 ^^
다시 이 시를 저의 작은 日記帳에
엄마의 그리움을 생각하며
시의 내용을 써 내려 갔습니다.
늘 내가 생각하고 싶은 시였습니다.
(정채봉 시인 소개)
정 채 봉
- 1946년 전라남도 순천 출생
- 동국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졸업
- 1973년 동아일보 신춘문예에 동화 「꽃다발」로 등단
- 동화집으로 『물에서 나온 새』, 『오세암』,
『멀리 가는 향기』, 등이 있음
- 새싹문학상, 소천아동문학상, 세종아동문학상 수상
- 샘터사 편집국장, 편집이사
- 동국대학교 예술대 문예창작학과 겸임교수
- 2001년 1월 사망
좀더 상세하게 설명을 하자면
정채봉 수필가
시인, 동화작가.
1946년 11월 전남 순천 해룡면에서 태어났으며 광양에서 학창시절을 보냈습니다. 1973년 동아일보 신춘문예 동화부문에서 ‘꽃다발’이 당선되었습니다. 2001년 1월, 향년 54세의 일기로 작고하였으며 그의 사후 10 년째인 2011년, 대한민국의 성인동화 장르를 개척한 작가로 인정받으며 그의 문학정신을 기리는 <정채봉문학상>이 제정되었습니다. 동국대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1978년부터 2001년까지 <샘터>를 발행하는 샘터사의 편집자로 일했습니다. 3살 때 어머니는 그와 그의 여동생을 낳은 후 20세 젊은 나이에 세상을 떠났고, 5살 때 아버지는 일본으로 이주한 후 소식이 끊겨 할머니 밑에서 성장하였습니다. 주요 동화작품으로는 <물에서 나온 새>(샘터, 2006), <오세암>(파랑새어린이, 2003), <스무살 어머니>, <생각하는 동화> 등이 있으며 시집으로는 첫 시집이며 유일한 시집 <너를 생각하는 것이 내 일생이었지>(현대문학, 2000)가 있습니다.
'결손가정'에서 성장한 소년의 외로움이 그를 동심의 꿈과 행복, 평화를 노래하는 동화작가로 만들었습니다. 한창 공부에 재미를 붙이던 때 아버지로부터 보내오던 학비가 갑자기 끊기자, 아버지와 절연을 하면서 학업을 포기하였습니다. 그러나 집에서 놀고 있는 제자를 안타까이 여긴 중학교 은사의 도움으로 학비를 전액 면제 받을 수 있는 광양농고에 들어간 정채봉은 온실관리를 책임지면서 학업을 병행하였는데 농업학교의 교과목이 체질에 맞지 않아 힘들어 하던 중에 온실의 연탄난로를 꺼트려 관상식물이 얼어 죽게 만드는 '대형 사고'를 치고 말았습니다. 이 사고로 학교 도서실의 당번 일을 맡게 되었는데, 이게 바로 그를 창작의 길로 인도한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습니다. 도서실에서 세계의 고전을 두루 섭렵한 그는 그 무렵 매일 주변의 친구들에게 편지 보내는 게 즐거움이었을 정도로 쓰는 걸 좋아했다고 합니다. 그 때 쓴 수 백 통의 편지가 그의 글쓰기 습작의 시작이었던 셈입니다.
2021년 1월은 정채봉 시인이 짧은 생을 마감한 지 20년이 되는 해입니다. <샘터사>는 정채봉의 20주기를 맞아 그의 산문집 4권 중에서 여전히 사람들에게 사랑을 받는 아름다운 글들을 모아 <첫마음>이라는 제목의 책을 한 권 출간했습니다. 오랜동안 그가 몸담아 온 샘터사의 편집인으로서 문학적 교류를 해 온 수많은 작가들 중, '형님-아우의 연'을 맺을 정도로 친했던 정호승 시인은 이 책의 서문에 이렇게 썼습니다. ‘마음이 시리고 답답한 순간, 우리에게 필요한 삶의 지혜와 위안을 그의 글에서 구할 수 있지 않을까. 그 누구도 무엇이 옳은지 당신에게 말해 주지 못할 때, 해답도 없고 출구도 없고 길도 보이지 않을 때, 돌아가야 하겠지. 늦기 전에. 처음의 마음으로. 그의 동화를 읽고 사랑하는 독자들이 있는 한 그는 영원히 존재한다. 덴마크에 안데르센이 있다면 대한민국에는 정채봉이 있다.’
오늘 감상하는 시 한 줄 한 줄, 자분자분한 그의 말투에서 인간에 대한 따뜻한 시선과 세상에 대한 통찰력, 그리고 담백하고 간결한 언어로 수많은 독자의 마음을 다독였던 정채봉의 '첫 마음'이 잘 드러나 있습니다. 긴 시간을 두고 완성된 듯한 첫마음의 순간 순간들이 바로 시인의 마음이요, 삶을 살아 온 시인의 자세이며, 주변의 사물이나 사람에게 보내는 시인의 태도 그 자체임을 말해 줍니다. 그러나 이 시를 읽어 내려가다 보면 마치 첫 마음을 노래하다가 시인이 어디론가 가버렸다는 느낌이 들 정도로 갑자기 마무리된 느낌을 받게 됩니다. ‘바다로 향하는 냇물처럼/ 날마다 새로우며 깊어지며 넓어진다’라는 마지막 문장 전이나 또는 그 다음에 꼭 뭔가 있어야 할 듯 한데 그냥 미완성으로 끝나버린 그런 느낌 말입니다. 시인이 의도하지는 않았겠지만 그 공백은 시를 읽는 독자들이 날마나 새롭게 각자의 첫마음을 하나씩 덧붙여 가야 하는 것이라고 말하는 듯 합니다.
정채봉 시인의 작품들은 대부분 어머니에 대한 그리움이 사무치게 녹아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유년 시절 결핍된 어머니의 사랑에 대한 그리움이 그의 작품의 자양분이라고나 할까요. 그의 시를 한 편만 달랑 읽기에는 아쉬움이 있어 어머니를 그리워하는 시 하나를 더 감상해 보겠습니다.
'5.취미활동(挑戰) > ▶인문학공부(人文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 일송정 해란강 (0) | 2023.07.25 |
---|---|
'김용미'(月荷 金容美) (0) | 2023.07.14 |
귀를 씻다 (0) | 2023.07.14 |
청출어감(靑出於藍) (0) | 2023.07.13 |
복수초 기고(寄稿) (0) | 2023.07.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