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취미활동(挑戰)767 간월재 중계기 안테나 교체 2023.7.25 오전08시 HL0UHQ 울산본부(DS5ATY본부장)에서는 지난 7.25(화) 오전 아침 08시에서 영남알프스 신불산과 간월산 중간 지점 위치한 간월재(해발900m) 중계기를 보수하고 왔습니다. VHF안테나 강풍과 비 바람으로 인해 훼손되어 울산본부에서는 간월재 안테나 교체작업을 했습니다. 해당 주파수는 다음과 같습니다.VHF 144.640 T톤 88.5 맟추면 영남알프스 산행중 위급한 비상재난시 호출하면 연락이 가능 합니다. 이 주파수는 한국아마추어 무연연맹 울산본부에서 운영 관리 하고 있습니다. 중계기작업 참여자 HL5BPF DS5FZG DS5VBK DS5KXY 중계기작업 참여자 HL5BPF DS5FZG DS5VBK DS5KXY 2023. 7. 29. JA8COE QSO 2023.7.29(토) 22:12 훗카이도 JA8COE 21Mhz에서 QSO 첫 교신 연결 최근 21메가에서 아주 가까운 거리인데 일본 훗카이도 까지 교신이 되었네요^^ 신호가 아주 깨끗하게 들어 왔습니다. 1,439Km 거리 2023. 7. 29. 백두 대간이란 백두 대간이란??? 2023.7.29(토) 11시 백두대간은 백두산 함경북도 장군봉(2744m)에서 발원되고 마천령 산줄기를 따라 동으로 뻩어 내려. 함경도 두류산(2309m)에서 남으로 하나의 큰 가지를 친다. 차일봉(1742m)ㅡ철옹산(1085m)ㅡ추가령(752m)ㅡ금강산(1638m)에 이르러 휴전선을 넘고 남쪽 지역 고성군 향로봉((1287m)에서 바톤을 받아 동해 해안선을 따라 남으로 치닫는다. 여기는 흔히 백두대간이라는 칭 하는데 결국 반토막 백두대간이다. 그게 진부령(529m)ㅡ미시령(826m)ㅡ설악산(1708m)ㅡ한계령(1004m)ㅡ오대산 두루봉(1422m)ㅡ선자령(1157m)ㅡ대관령(832m)ㅡ청옥산(1407m)ㅡ두타산(1353m) 으로 이어져 강원도 매봉산(1397m)에 와 닿는다. 노송.. 2023. 7. 29. 중국 일송정 해란강 2023.7.20 (목) 탐방코스 : 용정 용두레우물 용정은 만주족이나 한족이 아닌, 조선족이 개척한 도시이다. 용정시에 있는 이 용두레우물은 용정시의 이름이 붙게 된 기원이 되는 곳으로, 이 샘으로 인해서 이곳에 마을이 들어서게 되었다. 지금은 그 자리에 용정지명기원지정천(龍井地名起源之井泉) 이라고 쓰인 비석과 함께 1986년 용정현 인민정부에서 복원한 우물이 남아 있다 . 가이드도 이 유래에 대하여 대충 대충 이야기 하길래 공부가 조금 부족한 가이드로 판단이 된다. 용두레우물은 '거룡우호공원' 안에 있었다. 이 동네는 어디에건 이름에 '용龍'이 들어가지 않으면 안되는 모양이다 용정, 거룡, 용문교, 용두레.... 여느 공원이 그렇듯 이 공원에도 노인들이 그늘에 모여앉아 길고 긴 인생의 시간을 보내고 .. 2023. 7. 25. 이전 1 ··· 147 148 149 150 151 152 153 ··· 19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