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5.취미활동(挑戰)/▶Raido- HAM(햄送受)

무선통신의 기초

by 사니조아~ 2024. 8. 3.

아마추어무선통신( HAM)
본 내용은 이미 오픈북에 많이 게재되어 있고 아마추어 무선사 자격을 가진자는
다 이해를 하고 아직 첨 접 하는 내용은 숙지하여 개인에게 도움이 되길 바라며
국가에서 정하는 법규를 잘 이해 했으면 합니다.

1. HAM 의 어원 및 역사
(1) 햄의 어원 (정확하지 않고 단지 추정일 따름)
영어에 'HAM'이란 관객을 끌기 위하여 동원되는 역할을 하는 사람이라고 번역되어 있다.

이는 무선으로 자기의 목소리를 세계의 여러 아마추어국에 소개하며 서비스하는 것에

비길 수도 있을 것이다.


'HAM'이란 말은 1908년에 처음으로 사용되었으며, 미국의 하버드대학의 무선클럽의

 맴버가 운용한 아마추어 무선국의 이름이 'HAM'이었다. 멤버는 엘버트.S.하이먼

(Elbert. S. Hyman), 봅 알메이(Bob Almay), 페기 머레이(Peggy Murray)의 3명이었다.

 

 최초에는 자신들의 무선국을 'Hyman-Almay-Murray'라고 불렀지만 그런 긴 이름을

 CW로 송신하는데는 상당히 어려움이 많았고, 3사람의 이름을 전부 사용하는 것에

 어려움이 많아 이름의 두자리만 따서 'HY-AL-MU'라는 이름으로 바꾸었다.

 

1909년의 초기 이 무선국의 이름은 'HYALMA'이었는데 멕시코의 배 이름이 'HYALMO'라는

 이름과 혼돈하게 되어 다른 방법을 생각하던 중 그들 이름의 첫글자 중1자리씩

사용하도록하여 'HAM'이란 이름으로 변경 사용하였다.그 당시 규칙도 없었던 무선의

세계에서는 아마추어 무선가는 자유롭게 주파수와 콜사인을 정할 수가 있었고 사용에도

 제한이 없었다.

 

 그 당시에도 지금과 마찬가지로 몇 사람의 아마추어국은 연구심으로 개발한 기술을

 이용하여 상업방송보다도 좋은 송수신올 할 수가 있었다. 그 결과로 인해 제기된 문제는

 전파방해 등으로 워싱턴 국회에서까지 문제가 제기되어 아마추어 활동을 엄중히

 규제하는 법률이 제안되게 되었다.


(2) 통신의 역사
처음으로 전파가 존재한다고 주장한 사람은 영국의 맥스웬(C. Maxwell)이라는

사람이었다. 이 사람은 패러데이(M. Faraday)가 발견한 전자 유도 작용을 수학적으로

 설명하고, 빛도 전자파라는 것을 들어 빛보다 파장이 긴 전파가 있을 것이라고

예언하여 오늘날의 전파 공학의 기초를 만들었다.

 


그로부터 9년 후인 1888년에는 도이치의 헤르츠(H. Hertz)라는 사람이 실험에 의해서

 전파가 존재한다는 것을 확인하여 맥스웰 설명을 증명하게 되었다. 오늘날의 전파를

 발견한 헤르츠의 이름을 따서 전파를 헤르츠파 라고도 부르며 전파의 주파수가 1초간에

 변화하는 횟수를 사이클 또는 헤르츠라고 부르게 된 것이다.


헤르츠의 전파를 실제의 통신에 이용한 사람은 이탈리아의 마르코니(G. Marconi) 이다.

마르코니가 실험한 장치는 헤르츠가 만든 발진기를 크게 하고 한쪽으로는 안테나를 가설하여

 전파가 멀리 나가게 해 놓고, 다른 쪽은 땅속에 파묻어서 지면을 잘 전하도록 한 장치이다.

수신측에서는 같은 크기의 안테나를 만들고, 코히러라는 검파기를 통하여 땅 속에 묻은 관에

 연결해서 전파가 오면 벨이 울리도록 하였다. 이것이 1894년 8월 이었는데 이때의 통달거리는

 100M였다.

 

그 해의 12월에는 1700M, 그리고 다음 해에는 15KM의 거리까지 통신하는데 성공하였다

. 그 후 마르코니는 영국으로 건너가서 여러 번의 실험 끝에 1901년 12월 12일 드디어 대서양

횡단에 성공하여 비로소 인류의 꿈인 원거리의 무선 통신을 실현하게 되었다. 이와 더불어

각 국에서는 앞을 다투어 무선국을 설비하여 상업 통신을 하게 되었는데 한편 개인적으로

 전파에 흥미를 느껴 개인적으로 무선을 연구하고 통신을 하는 사람이 늘어나서 1912년경

 미국에서는 이들에게 정식으로 허가하여 실험의 자유를 부여하게 되었는데 이것이 바로

 아마추어 무선의 시작이었던 것이다.

 


(3) 햄의 역사
1911년 엘버트 하이만(Elbert Hyman)은 문제가 제기되어 있는 '무선활동규제 법안'에

 대한 것을 졸업 논문의 제목으로 제시하였고, 졸업 논문을 지도하고 있던 지도교수는

법안올 심의하고 있는 위원회 멤버의 한 사람인 데이비드 월슈(David. L. Walsh)

상원의원에게 논문의 복사분을 보내도록 권유하였다. 이를 접수한 상원의원은 대단한

 관심을 가져 하이만에게 국회위원회에 설명하도록 요청하였다. 하이만은 위원회에서

자그마한 아마추어 무선국이 어떻게 운용되고 있는지를 자세히 설명하였다.

 

만약 이 법안이 통과된다면 도저히 지불할 수가 없는 면허비용, 그 밖의 규칙에 의하여

 경제적으로 여유가 없는 아마추어 무선국들은 폐국되는 것이 당연하게 된다는 것을 눈물로써

 하소연을 하였다. 이런 설명이 있은 후 법안에 대한 토의 및 심의가 시작되어 법안이 국회에

상정되었을 때 전체의 발언자는 이 자그마한 무선국 HAM에 대하여 상당한 관심을 가지고 논의하였다.
이것을 시작으로 미국 전 국토의 사람들은 HAM국을 아마추어 무선국과 관련지어 생각하게 되었다

 

.
2. 아마추어 무선이란
전파법규에 명시하고 있는 아마추어무선의 정의는 1943년에 제정된 국제 전기통신조약

 부속무선통신 규칙에 아마추어 무선 업무란 금전상의 이익을 위하지 아니하고, 개인적인

무선기술의 흥미를 위해 행하는 자기훈련통신과 기술적 연구의 업무라고 규정되어 있다.

 

 즉 아마추어 무선이란 무선통신에 흥미를 느낀 사람이 정부로부터 정당한 허가를 받아

무선설비를 갖추어 전 세계에 산재해 있는 같은 취미를 가진 사람들과 대화를 나누며 전파를

 통한 개인적인 실험을 하고 기술을 연마하는 취미를 의미한다.


이와 같은 아마추어 무선을 HAM RADIO라고 하며 아마추어 무선을 취미로 하는 사람을

아마추어 무선사 또는 HAM 이라고 한다. 이러한 아마추어 무선사는 전 세계에 약 300여만명이

 있으며, 한국에는 약 60,000여명의 아마추어국과 약 150,000여명이 자격증을 소지하고 있다.
이중 약 20,000여명이 한국 아마추어 무선연맹의 회원으로 있다.

 


(1) 아마추어의 신조
 아마추어는 전파의 공공성을 존중한다.
 아마추어는 우호적이다.
 아마추어는 국가와 사회를 위해 봉사한다.
 아마추어는 항상 연구심을 간직한다.
 아마추어는 전기의 위험성을 잊지 않는다.


(2) 호출 부호 (Call sign)


A. 호출부호의 고유성
① 세계의 모든 아마추어무선국은 누구나 자기 자신만의 고유한 호출 부호를 가지고 있다

. 사람은 같은 이름을 가진 동명이인이 여러 명이 존재 할 수 있지만, 아마추어 무선국의

 호출부호는 이지구상에서 오직 하나 밖에 존재하지 않으므로 햄에게 있어서는 무엇과도

 바꿀 수 없는 가장 고유하고 고귀한 것이라고 할수 있다.


② 아마추어무선의 전파는 어떤 특정 지역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우주공간으로 전파되어

 나아가므로, 발사하는 전파의 발사원을 상대방에게 정확하게 전달하기 위한 방법 중의

하나로 호출부호라는 아마추어무선의 고유한 이름을 가지게 된다.


B. 호출부호열의 배정
아마추어 무선국의 호출부호는 ITU(국제전기 통신연합)에서 1959년 제정한

 [국제전기통신협약 부속 전파규칙] 제 42조에[국제호출부호별 분배표]에 의거 국가별로

 호출 부호열을 배정하고 있다.


C. 호출부호의 SUFFIX로 사용하지 않는 영문자
① 조난신호 또는 같은 종류의 신호에 혼돈하기 쉬운 부호 : SOS, XXX, TTT등
② 무선통신 업무에 사용하는 약어 때문에 유보된 부호 : QRA-QRZ, QSA-QSZ, QTA-QTZ
③ 일부 국가에서는 조난통신 등의 약 부호나, 사회의 공공질서에 유해한 단어 : SEX, SX등


D. 호출 부호의 구성
아마추어 무선국 호출부호의 구성은 국제통신협약 부속 전파규칙(RR)제 25조의

 제 2119호의 규정에 의하여 PREFIX와 SUFFIX로 구성되는데,


① PREFIX의 3문자 중 처음의 1문자 또는 2문자는 국적을,
② 세 번째의 숫자는 지역번호를 나타내며,
③ SUFFIX는 원칙적으로 최대 3문자(1자~3자)로 구성된다. 그러나 특별국의 경우,

4자 이상도 있다.
④ 아마추어 무선국의 호출 부호는 통상 0~9까지의 숫자와 A~Z까지의 알파벳 26자를

사용 하며, 숫자 0과 알파벳 O를 구분하기 위하여 숫자 0은 사선을 그어서 표시한다.
                    H  L  1  /  O  J  M
                    Prefix   /  Suffix
호출 부호의 PREFIX 3자 중 1자는 지역 번호를 나타낸다.
호출 부호 중 지역 번호가 0인 무선국 : 단체국, 클럽국 이라하며 무선국의 위치에

관계없이 지역 번호가 제로 0이다


1 2 3 4 5 6 7 8 9 0
서울 경기강원 황해 충청 전라 제주 경상 함경 평안 보류 주한  외국인 단체

⑤ 우리나라 호출부호의 지정순서 : HL-DS-6K-6L-6M-6N-D7-D8-D9-DT
북한에 배정된 PREFIX(6개)   : HM, P5, P6, P7, P8, P9
  ** 참고 **
1) 주소(QTH)가 바뀌면 호출부호도 변경되는데, HL과 DS는 다음과 같이 차이가 있다.
① HL : 무선국의 설치 장소가 변경된 곳의 지역 ( 예 : 서울에 사는 HL1OJM 이

 경기도로 이사 오면 HL2OJM 으로 변경)
② DS : 이미 부여받은 호출부호 뒤에 </ + 지역 번호>를 첨가하여 사용한다. 

 DS국은 지역 번호만 다르고 동일한 서픽스를 가진 무선국이 여러국 존재하므로

 [스트록]을 붙여 구분하며, [/]는  [스트록(stroke)]또는[고정]으로 발음한다.

번호로 바뀌게 된다. (예: 경기도에 사는 DS2EYE가 서울로 이사를 가면 DS2EYE/1으로 변경)

 

 2)이동 운용 시에는 호출부호 뒤에 <이동 구분>과 <지역 번호>를 첨가하여 나타낸다.
① 휴대 이동(허가 받은 핸디로 이동 운용시) : [/P + 지역 번호][발음: 포터블=포러블

(potable 또는 휴대)+(원 투우 쓰리 포어 파이브)]
차량을 타고 이동하더라도 휴대하고 있는 핸디로 운용시에는 휴대이동에 해당되며, 동일

지역에서는 지역번호를 생략할 수 있다.
② 차량 이동(차량에 장착하여 허가 받은 무선기기로 운용시): [/M +지역 번호] [발음:

모우비을(Mobile) 또는 이동 + (원 투우 쓰리 포어 파이브)],   핸디를 차량에 장착하여

허가 받았더라도 그 무선국은 Mobile Station에 해당된다. 
③ 해상 이동: [MM+지역 번호][발음:매러타임 모우비을(Maritime Mobile) 또는 해상 +

 (원 투우 쓰리 포어 파이브)]
이것은 선박에 무선기기를 장착하여 허가를 받은 아마추어 무선국에 해당되며, 만일

HL5BDY라는 무선국이 배를 타고 홍도로 이동한다고 하더라도 HL5BDY/P4라고 표현하여야 한다.

     
④ 항공 이동 : [AM+지역 번호](원명=Aeronautical Mobile)[발음 : 호출부호 + 에어러노티컬

모빌 Mobile 2] 또는 항공+ (원 투우 쓰리 포어 파이브)]
이것 역시 항공기에 무선기기를 장착하여 허가를 받은 아마추어 무선국을 말하며, 일반인들은

 비행기 탑승시 무전기를 휴대할 수 없음으로 휴대 이동은 불가능한 상태이다..
⑤ 동일 지역에서의 이동 운용시에는 지역 번호를 생략할 수 있다.

 3) 호출부호로 사용할 수 없는 영문자 :
  ① SOS, XXX, TTT, QRA∼QRZ, QSA∼QSZ, QTA∼QTZ, SEX 등
  ② HL의 호출부호 부여시 OD∼OZ는 제외되었다.
3. Phonetic Code (歐文 通話表)
HF V/UHF대의 교신에서는 여러 가지 전파 장애(QRM, QRN 등)로 인하여 전파 상태가 좋지

 못할 때, 호출부호(Call Sign), 주소(QTH), 운용자 성명 등을 상대국에게 명확(明確)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국제민간항공기구(ICAO; International Civil Aviation Organization)에서

 제정한 [Phonetic code]를 사용한다. 특히 I와 Y, M 과 N , B와 V, G와 Z, P와 F 등은

상대방의 발음만으로는 구분하기가 곤란하므로, 이와 같은 경우 음성 통신에서는 가능한 한

 ICAO에서 제정한 [Phonetic code]를 사용하여 자신의 호출부호를 명확하게 밝혀야 한다.


A Alpha able,america N November nancy,norway
B Brabo boston O Oscar ontario
C Charlie canada P Pa-pa peter
D Delta denmark Q Que-bec queen
E Echo edward R Romeo rome,roger
F Foxtrot florida S Sierra sugar
G Golf germany T Tango texas.toronto
H Hotel hawaii U Uniform uncle,united
I India italy V Victory vitoria
J Juliet jig,john W Whisky washington
K Kilo king.kentucky X X-ray 
L Lima london Y Yankee yoke
M Mike manila,madrid Z Julu zebra


4. Q 부호
통신을 간결하게 하기 위해서 Q부호를 사용하고 있다. 원래는 전신용이지만 전화에도

 널리 쓰인다.


QRA 이름 또는 국명, CALL SIGN 그곳의 국명은 무엇입니까?
QRL 교신중(바쁘다는 말) 그곳은 교신 중 입니까?
QRM 교신중 혼신 그곳은 혼신을 받고 있습니다.
QRN 공전의 방해 그곳은 공전의 방해를 받고 있습니까?
QRO 송신 정력 증가 이곳의 송신 출력을 증가할까요?
QRP 송신 전력 감소 이곳의 송신 출력을 감소할까요?
QRT 송신 중지, 교신 중지 이곳 송신을 중지할까요?
QRZ  누가 이곳을 호출하고 계십니까?
QSA  이곳의 신호 강도는 어떠합니까?
QSL 교신 증명서, 교신 확인 내용을 이해 하셨나요?
QSO 교신 이라는 말 그곳과 교신할 수 있나요?
QSP 교신 중계 교신내용을 중계해 주세요
QSY 주파수 이동 다른 주파주로 이동할 까요?
QTC 공지사항, 메모 공지사항이 있나요?
QTH 전파송출의 정확한 위치 당신의 위치는?
QTR 정혹한 시간 정확한 시간은 몇시입니까?

5. 아마추어무선에서 사용되는 용어 약어
 LOG : 교신일지를 말하며, Log Book은 그 교신에 대한 기록를 할 수 있도록 만든 책자를 말함.
 OB :  Old Boy의 약어                              
 RAGCHEW : 잡담(래그츄어)
 OM : 햄의 선배를 뜻하는 Old Man의 약어이나, 거기에는 ' ∼씨(Mr.) ∼선생님'의 뜻이

 내포되어 있으므로, 비록 최근에 개국한 무선국에게도 OM이라는 호칭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남성에 한정된다.
 YB :  햄의 초보자 또는 새내기를 뜻하는 Young Boy의 약어로서, OB라는 용어에 대응하여

 일본에서 만들어진 용어라고 추정됨.
 YL :  여성에게는 <YL>을 사용한다.     
 XYL : EX-YL 즉 본인 및 상대국의 부인을 지칭한다. 그러나 교신시 상대국이 결혼한

여성이라고 하더라도 <YL>로 호칭은 할 수 있으되, <XYL>이라고는 부르지 않는다.   EX-(eks-)

[전에]라는 뜻으로 이때의 '-'은 하이픈(hyphen)
 OP : 무선국의 운용자를 뜻하는 Operator의 약어
 QRN : FM mode에서는 혼신(QRM)이 아니라 잡음(QRN)이 있다고 표현하여야 함.
 ANT : 안테나
 DX : Distance 의 약자, 장거리 교신
 Eye-ball : 직접 만나는 것. 모임
 FB : Fine Business
 HANDLE : 주로 DX 교신이나 CONTEST 때 사용하는 이름 대신 쓰는 일종의 별명
 HI : 웃음
 LOCAL : 근거리 또는 국내
 Power : 경제적 사항 ,  송신기의 출력
 PSE : Please
 R : Roger
 RIG : 무전기
 RX : Receiver , 수신기
 TX : Transmitter 송신기
 TRX : Tranceiver 송수신기
 TNX , TKS : Tanks 감사
 Z : GMT 국제 표준시 (GMT = KST - 9)
 73 : Best Regard
 88 : Love & Kiss 자신이 YL 임을 알림 , YL 에 대한 인사
 0N THE AIR : 방송국에서 "방송중"의 뜻으로 사용하는 용어에서 유래되어, 전파를

 "공중으로 보내다"라는 의미로 아마추어 무선에는 "교신"을 지칭한다.
 전화 : 600                    
 식사 : charge break
 음주 : AM ( Alcohol Modulation 혹은 Alcohol Meeting)
 결혼 : PP (Push Pull)           
 사망 : Silent Key
6. 기타 약어들
 ZONE : 세계를 편의상 여러개의 지역으로 묶어 놓고 번호를 매겨 놓고 있다 (한국은 ZONE 25)
 Pile up : 진귀한 국이 on-Air 했을 때 많은 HAM 국이 교신을 원하여 동시에 호출하는 현상
 Field-day : Rig를 집 밖으로 들고 나가 운용하면서 HAM 들과의 친분을 다지는 일종의

 야외모임으로 해변이나 산에서 갖는 HAM들의 모임
 공개운용 : 주로 HAM의 홍보나 소개 , 안내를 목적으로 공공장소등에서 공개적으로 운용하는 것
 ARDF(Amateur Radio Direction Finding) / Fox Hunting, 전파발신기를 여러 군데 감춰 놓고

안테나를 이용해 그 위치를 찾는 HAM들 간의 시합. 정해진 구간 내에서 가장 많이 찾아야 하는

 것으로 국내 대회는 물론이고 세계대회도 있다.
 KDN(Korean Distric Number) : 행정구역상의 시, 군, 구(특별시 및 직할시)를 구별하기 위하여

 일정한 번호를 부여한 것을 말한다. 그 중 50개 이상의 지역과 교신을 하면 KDN AWARD를 받을 수 있다.
 SWL(Short Wave Listening) : SWL 이란 정식으로 무선국 허가를 얻지 않은 동호인이 수신 설비만

 갖추고 세계 HAM 들간의 교신 내용이나 각국의 단파 방송을 청취하는 것이다. 수신만 하므로 면허가

 필요 없고 설비도 훨씬 간단하다. 수신 내용을 기록한 수신 보고서(SWL card)를 보낼 수 있고,

 이에 대한 AWARD 도 있다. OP가 되기 전에 교신술을 익히는 데도 유용하다.

 

 All Band Transceiver : 1.8, 3.5, 7, 14, 21, 28MHz의 모든 Band용 무전기
 All Mode Transceiver : 변조방식 CW,AM,FM,SSB(LSB,USB)모두를 사용 할수 있는무전기
 AM : Amplitude Modulation(진폭변조)
 AM : Alchol Meeting,"술을 마시다"로도 표현되는 아마추어 무선사들의 속어
 ANT : Antenna 공중선
 ARRL : 미국 아마추어무선연맹
 AWARD : 상(賞), 교신실적에 따라 부여되는 상장
 Band : 주파수 대역
 Charge : 충전(먹는 것에 대한 표현으로도 쓰이는 속어도 있다.)
 CW : Continuos Wave(A1,A2,F2등의 전파)전신
 CQ : Come Quickly,Call to Quarters 등의 뜻으로 불특정인의 호출용 부호
 DX : Distance,원거리 통신(전신용 약어)-HF대 경우 아세아대륙을 벗어난 지역,VHF대 경우 m이상이면 DX.
 Eye Ball Meeting : 상호 직접 만나 보기
 Field Day : 친선다짐을 위한 HAM들의 야외 모임
 FM : Frequency Modulation(주파수 변조)
 Fox Hunting(Tailing) : 전파의 발신음 찾기 대회(ARDF)
 Gain : 이득
 GMT : Greenwich Mean Time-세계표준시,Z로 표시한다.
 Handle : 예명,가명,애칭<성명이 아님>
 Handy : 손에 들고 조작할수 있는 무선기기- 휴대용
 Hi : 웃음소리(CW용어로)
 Inform : Information,소식,정보,통지.
 KARL : Korea Amateur Radio League 한국아마추어무선연맹
 KDN : Korea District Number 전국을 구로 나누어 표기,
 KST : Korea Standard Time-한국 표준시
 Local : 가까운 거리의 아마추어국 범위
 Look Book : 교신일지,업무일지
 Mobil국 : 이동차량국
 OM : Old Man Mr.(선배) (LT;OT;HAM 경력이 오래된 선배)
 OP : Operator,통신사,운용자,무선기기를 취급하는 사람
 PACKET통신 : 데이터 통신의 일종,Computer를 이용한 통신방식
 Portable : 이동하는 국(휴대국)
 RIG : 무선기기,송수신기
 Roger : 상대방의 통보를 이해했다는 전화 통신 용어
 Rotator : ANT를 회전시켜 주는 기구
 Round교신 : 일정 주파수에 여러 국이 모여 교신을 나누는 것
 Scan : 주파수 찾기
 Schedule교신 : 일정한 시간을 정해놓고 교신하는 것
 Signal : Readability(명료도), Strength(강도), Tone(음질) 머리글자를 따서 R.S.T.라고 부름.
 Standing By : "수신합니다"라는 통신 용어 "기다립니다"
 STN : Station의 약자
 SWL : Short Wave Listener<단파 청취자>
 SWR : Standing Wave Radio 전파 전송 선로에 생기는 정재파의 최대치와 최소치의 비. '1'에 가까울수록

 전송 선로의 임피던스 매칭이 양호함
 VY : Very 대단히
 XYL : Wife-부인
 YB : Young Boy-남자,아들,초보자
 YL : Young Lady-숙녀(미혼),딸
 Zone : 세계를 지역별로 나누었음.CQ-40여개,ITU-7개(CQ:25,ITU:44) 위성통신 : Amateur용 인공위성을

 띄워 이 위성을 중계국으로 하여 지구의 반대편과도  교신이 가능한 통신 방식
7. Log Book 작성 및 QSL 카드 작성
* Log Book 작성
교신을 한 상황을 일일기 기록해 두는 것이 무선 업무 일지이다. 전파 관리법 상에도 모든 무선국에는 Log Book을

 비치하게 되어 있으면 사용이 끝난 Log Book은 2년간을 보관토록 되어 있다.
Log Book 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을 기재한다.
 Date : 교신 년. 월. 일
 Time : 교신 시간 (시작한 시각과 끝난 시각)
 Call Sign : 교신 상대국의 호출 번호
 Report : 상대방의 신호 및 상대방으로부터 받은 자국의 신호 리포트를 기록. 전화 교신 시에는 2자리(RS,

Readability / Signal), 전신의 경우에는 3자리(RST, R/S/Tone)로 표시한다.
 Mode : 사용 전파 형식(SSB, CW, FM, AM, RTTY, 위성 기타)
 Frequency : 사용 주파수
 Name : 교신 상대자의 이름
 QTH : 상대 무선국의 위치
 Power : 교신에 사용한 송신기의 입력 또는 출력
 Remark : 상대국의 기기 기타 기록할 만한 교신 내용
 QSL : QSL 카드 수신, 발신 여부
 * QSL 카드(교신증) 작성
이 교신증은 언제 어디의 누구와 어떻게 교신을 하였다는 증명 서류의 역할을 한다. 때문에 교신 후에는 반드시

 이 QSL 카드를 교환하여야 한다. 이 교신증은 AWARD 신청등의 중요한 자료이다. 아마추어 무선은 무선

 업무 일지(Log Book)로 시작해서 교신중(QSL 카드)을 받음으로써 완전히 교신이 성립되고 매듭 되어 진다.
8. 신호 리포트(Signal Reporting)
상대방 햄을 만나면 처음에 인사부터 나눈 다음에 곧 신호 교환을 하게 된다. 신호 보고는 내 신호가 상대방

 지역에 어떻게 도달하는가를 알 수 있는 무척 중요한 자료로써 서로 상대방에게 세 개로 나뉘어진 형식의

신호 보고를 하는 것이다. 이것은 해독도(Readability), 강도(Strength), 음질(Tone)을 종합보고 하는 것으로

 머리 글자를 따서 RST 라고 한다.


Phone으로 교신할 때는 R과S를 CW로 교신할 때는 R과S 그리고 T로 된 세자리 숫자를 교환하면 된다. SSTV

교신에서는 음질대신에 화상(Video)를 써서 RSV의 세자리 숫자를 교환한다. RST는 숫자로 이루어 지며

숫자가 낮을수록 나쁜 상태 숫자가 높을수록 좋은 상태를 나타낸다.
(1) 해독도(Readability)
명료도라고 부르기도 하는 것으로 신호를 얼마나 확실하게 수신할 수 있나 하는 것이다. (주관적인 판단)


해    독    도(READABILITY)
R1 해독할 수 없음(Unreadable
R2 수시로 해독할 수 있음(Barely readable, occasional words distinguishable)
R3 해독은 되나 곤란(Readable with considerable difficulty)
R4 해독할 수 있음(Readable with practically no difficulty)
R5 완전히 알아들을 수 있음(Perfectly readable)

(2) 강도 (Strength)
신호가 얼마나 강력하게 들어오는 가를 나타내는 지표로서 1부터 9까지의 9개의 숫자를 사용하는데 수신기에

 부착되어 있는 S미터라는 강도계의 바늘이 지시하는 수치만을 불러주면 된다. S미터는 증폭단에서의

수신전압을 검출하여 미터에 연결시킨 장치로 1에서 9까지 표시되어 있고 그 이상은 데시벨(dB)을 사용한

 배수로 표시되어서 60dB 까지 측정 할 수 있다.
강     도(SIGNAL STRENGTH)
S1 거의 안 들리는 약한 신호 S6 양호한 신호
S2 아주 미약한 신호 S7 약간 강한 신호
S3 미약한 신호 S8 강한 신호
S4 대단히 약한 신호 S9 아주 강한 신호
S5 약한 신호  

9. 전리층(Lonospheric)
태양에서 복사되는 자외선 중성자 미립자가 지구 상부의 대기를 이온화하여 밀집된 층으로 태양의 영향을 많

이 받으며 지상에서 50km - 500km 에 존재한다.
400km --------------
F 층 --------> 지상 200-400km 부근에 존재하고 전자 밀도가 E층보다 높고 단파(HF)는 반사하나

초단 파(VHF)는 통과해 버린다.
200km ---------------
스포라틱 E층---> E층 부근의 지상 100km에 존재하는 층으로 전자 밀도가 매우 불규칙하게 형성된다

. VHF를 반사하여 초단파 원거리 수신이 가능하고 국내 통신에 혼신을 초래한다.
100km ----------------
E 층 -------> 지상 100km 부근에 존재하며 전자밀도가 D층보다 커서 중파대를 반사시키고 단파는 통과한다

. 주간에는 밀도가 좁고 흑점이 많을 때 밀도가 커진다.
 80km -----------------
D 층 -----> 지상 70km-90km의 높이에 존재하고 태양 의 자외선에 의해 생성되어 낮에만 존재하고

흑점주기의 영향을 받는다. 주간에 존재할 때에는 장파대의 주파수를 반사하나 중파대를
모두 흡수하여 버린다.
 60km ------------------
지표면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지           구
10. 전파
(1) 전파 :  전자의 파동 및 진동. 도선 없이 공간을 빛의 속도로 움직이는 전기적인 세력(전계, 자계).

전파 관리법에서 정의한 전파는 3000GHz 이하의 전자파를 말한다.
(2) 전파의 구성 요소 : 주파수, 전파 형식, 전력
(3) 전파의 분류
A. 주파수(f, Frequency) : 1초 동안 진동하는 전기적인 진도 횟수 (1초간의 파장의 반복 횟수) (단위: Hz)
B. 주기(T) : 1번 진동하는데 걸리는 시간 (단위: 초(Sec : Second))
                1
           T = ---- (sec)
                F
C. 진폭 : Amplitude
D. 파장(λ): 한 주기가 돌아오는 거리 
                 C
           λ = ----
                 f
11. 전파의 전달
(1) 지상파
A. 직접파 : 송신 공중선(ANT)에서 수신 공중선(ANT)으로 직진하는 전파로써 가시거리 통신을 말한다.
B. 지표파 : 대지의 표면을 따라 전해지는 전파를 말한다.
C. 대지 반사파 : 대지에 의해 반사되어 수신 되는 전파를 말한다.
(2) 전리층파 : 전리층에 반사되어 수신되는 전파
(3) 산란파 : 전자 밀도가 불균일 한 전리층, 대류권 내에서 전파가 반사 굴절하여 생기는 파로 전리층

 산란, 대류권 산란, 스포라틱 E 층에 의한 산란 등이 있다.
12. 안테나의 기본적인 이론과 종류
(1) 안테나 이론
A. 안테나의 역할
송신 때에는 송신기에서 보내져 나오는 전력(고주파의 에너지)을 전파의 에너지로 바꾸어 공간에

방사하는 변환 장치 역할을 하고 반대로 수신 때에는 공간에 전해오는 전파의 에너지를 흡수하여

 전력으로 바꾸고 그것을 수신기에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안테나는 일종의 변환 장치라고 할 수가 있다.
B. ANT의 3요소 : 임피던스, 지향성, 이득

 


C. 지향성 : 매칭이 잘 된 안테나에서 일정한 전파가 나간다고 했을 때 이 전파가 어느 방향으로 나가는가

 하는 것을 지향성이라고 한다. 지향성 역시 dB로 나타내며 전파가 앞과 뒤로 나가는 비율을 FB(Forward

 to Backward)라고 한다.


D. 임피던스 : 일종의 저항으로 RIG는 50Ω이므로 안테나의 임피던스를 50Ω으로 조정하면 사용하는

고주파 에너지를 잘 주고 받을수 있다. 이 조정 과정을 매칭(Matching)이라 한다. 임피던스가 안 맞는

 상태에서 RIG 의 송전부에서 보내진 전력이 안테나 급전부에서 RIG 측으로 반사되는데 이 반사되는

 비율은 SWR(Standing Wave Ratio)값으로 표현된다.

 

SWR값이 높다는 것은 RIG 로 되돌아도는 전파가 많다는 이야기므로 RIG 종단부(송신부) 에 많은 무리가

 가게되어 수명이 단축되고 심한 경우 고장도 유발시키므로  1.5이하로 조정해서 쓰는 편이 좋다.
E. 이득(GAIN) :RIG에서 ANT 에 공급하는 전력과 ANT에서 방출하는 전계강도와의 비율.
F. 안테나 효율: 방사전력과 입력전력의 비를 말한다.
안테나 효율: 방사전력/입력전력 100%


(2) 안테나의 종류
A. 다이폴(Dipole) 안테나 (반파장 D.P ANT)
D.P는 안테나의 기본이다. 대부분의 HAM들이 건설 가능한 ANT이며 장소가 좁더라도 엘리멘트를

변형하여 건설할 수 있고 설치비용이 매우 적게 든다. D.P는 약 λ/2의 도선을 중앙에서 분할하고

그것에 동축케이블을 접속한 안테나이고 8자 지향 특성을 갖는다. 주로 3.5 MHz ~ 50 MHz 에 사용된다.


B. G.P (Ground Plane) 안테나
수직형 안테나의 일종이며 기본은 수직접지 안테나 이다. 다시 말하면 λ/2 다이폴의 반을 지상에

세우고 나머지 반(플레이트)을 대지를 이용한 것이다. 지표면에 건설하므로 주위에 건물, 수목 등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지상고가 높을 수록 좋지만 복사 각도가 낮다는 장점이 있으므로 그렇게

높게 설치 하지 않아도 된다. 그러나 수직 계통이기 때문에 외부 잡음을 잘 받아 들인다. TVI 는

 적은 편이다. 송신거리가 가시거리 이기 때문에 송신 거리가 짧다. 무지향성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C. 야기 (Yagi) 안테나
DX 통신의 주류를 이루는 안테나이며 매우 우수한 Beam 특성을 가지고 있다.  HF대부터 VHF, UHF 대

 까지 폭넓게 이용되고 있다. 이 안테나는 일본의 야기박사와 우노다 박사에 의해서 발명 되었다.

단일 지향성을 가지며 Band 폭이 좁은 것이 단점이고, 구조가 간단하고 TVI 가 적고 엘리멘트의

 증설이 쉬운 것이 장점이다. ZL special, HB9CV 안테나가 있다.


D. CQ 안테나
이 안테나는 1942년 미국의 아마추어 무선사인 Moore(W9LZX)에 의해 발명되었다. 형태와 성능면에서

 야기 안테나와 쌍벽을 이루고 있으며 CQ 안테나의 기본은 둘레 1파장의 루프이며 형태는 정방형,

 마름모형, 원형등이 있으나 마름모형이 가장 많이 쓰인다. 단일 지향성이고 Band 폭도 넓고, Beam

도 예민하여 DX 통신에 적합하다. TVI 가 약간 많으며 풍압면이 커서 바람에 약하다. 케이블 하나로

 Multi Band 급전이 가능하고 복사 각도가 낮아 지상고를 높이지 않아도 되며 특별한 매칭 회로가 없는

것이 특징이다.


13. 교신 MODE 의 종류
A. AM(Amplitude Modulation) : 진폭 변조 방식.
B. FM(Frequency Modulation) : 주파수 변조 방식
C. SSB(Single Side Band) : 진폭 변조)AM에 의해서 생긴 상하측파대 중 어느 한 쪽만 사용하는 것으로,

 하측파대를 사용하는 것을 LSB(Lower Side Band), 상층파대를 사용하는 것을 USB(Upper Side Band)라

 하며 이 둘을 합해서 SSB 변조 방식이라 한다. 다른 방식에 비해 점유주파수 대폭이 반으로 줄고 송신

 전력이 크지 않아도 되며 소비 전력도 적은 이점이 있다.

 


D. CW(Continuous Wave) : 음성 대신 KEY 가 만들어 내는 TONE으로 교신하는 방식. 음성 통신이 3kHz

 의 주파수 대역폭을 갖는 반면 CW는 단지 300Hz의 주파수 대역으로도 교신이 가능 하므로 일정한 범위의

 주파수 내에서 보다 많은 사람들이 교신할 수 있다. 단지 TONE을 송 수신하기 때문에 신호대 잡음비가

 상당히 좋아서 DXRYTLS이 유리하며 상대적으로 적은 출력으로도 운용이 가능하다.


E. RTTY(Radio Teletype) : 말 그대로 무선으로 이용한 타이프라이터이다. 문자는 마크와 스페이스를 합해서

 5개의 부호로 구성된다.(마크와 스페이스의  차이의 170Hz, 보통은 2125Hz와 229Hz)란 송신기 내부에서

 부호 발진기에 의해 주파수를 shift 하는 방식이고 AFSK(Audio Frequency Shift Keying)란 송신기의

 마이크 부분에 저주파 발진기를 연결하여 부호 발진기에서 마크, 스페이스로 발진 주파수를 쉬프트

시키는 방식이다.
F. FAX : 그림을 선의 집합으로 생각하고 그 선을 흑과 백의 변화로써 송신하는 것으로 아마추어 무선에서는

 무선을 사용한다는 차이가 있다.
G. PACKET : 컴퓨터를 TNC(Terminal Node Controller)를 이용해 RIG에 연결시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

 방식. 상기한 데이터 통신 방식보다 속도가 월등히 빠르고 100%에러가 없는 깨끗한 송.수신이 가능하며 상대를

 직접 만나지 않아도 BBS를 통한 메일로 의사 소통이 가능하다.
14. KARL BAND PLAN
무선 주파수에는 아마추어만이 사용할 수 있는 주파수가 정해져 있다. 이 주파수대에서는 오직 아마추어들만이

사용 가능하고 이 이외의 주파수에서 운용하는 아마추어국은 정보통신부로부터 제재 조치를 받게 된다.

지정 주파수 운 용 주 파 수 대
1,812.5㎑ 1,800-1,825㎑
3,525㎑ 3,500-3,550㎑
3,795㎑ 3,790-3,800㎑
7,050㎑ 7,000-7,100㎑
10,125㎑ 10,100-10,150㎑
14,175㎑ 14,000-14,350㎑
18,118㎑ 18,068-18,168㎑
21,225㎑ 21,000-21,450㎑
24,940㎑ 24,890-24,990㎑
28,850㎑ 28,000-29,700㎑
52㎒ 50-54㎒
145㎒ 144-146㎒

 

'5.취미활동(挑戰) > ▶Raido- HAM(햄送受)' 카테고리의 다른 글

HL5/K5MDK  (0) 2024.08.03
HL1BX  (0) 2024.08.03
iC 02N  (0) 2024.08.03
대구정크 (JUNK)  (0) 2024.08.03
최정산 SOTA Expedition  (0) 2024.08.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