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덴스의 역활
일시 : 2016.2.4
대상 : 콘덴스의 역활과 그 기능
아마추어무선을 하다 보니 전기부품의 특성과 그 성질을 전문가적입장은 아니지만
알아야 하겠다. 파워스플라이회로를 보면 본 제품은 필수이고 그 종류도 다양하다.
1.전원회로에서는 주로 에너지를 저장하는 역할을 합니다. 마치 충전밧데리와 비슷한 역할을 하죠.
가정에 들어오는 전원은 사인파의 교류입니다. 이것을 직류로 바꿀때 다이오드로 일단 바꾸지만
그래도전압이 높아졌다 낮아졌다 합니다. (사인파니까...) 이때 높은전압에서 충전했다가 낮은전압이
될때 자신이 충전한 에너지를 내보내주는 것을 콘덴서가 하는 것이죠.
(이러한 역할을 평활이라 합니다.)
2.직류는 차단하고 교류만 통과시키는 역할 Xc = 1/2πFC 즉 주파수가 높을수록 용량이 높을수록
임피던스(=저항)은 높아집니다. 직류는 F = 0입니다. 따라서 Xc는 무한대가 되죠. 반대로 말하면
교류는 콘덴서를 통과하지만 직류를 통과하지 못합니다. 이러한 용도로 사용할때 이를 커플링콘덴서
,또는 결합콘덴서라 합니다.
주로 증폭기중간중간에 넣어주고 DC bias는 그대로 두고 교류신호만 넘겨받을때 사용하죠.
3.노이즈제거 -- 위의 2번에서 잠깐 설명한것처럼 주파수가 높아지면 콘덴서로 전류가 잘통하게
됩니다. 그런데 노이즈라는 신호는 대부분 교류신호입니다. 전원line은 직류만 지나가야 하는데,
이런곳에 노이즈가 끼면 속상하죠. 이럴때 콘덴서를 GND로 붙여 노이즈만 제거하고, 직류는
통과시키는 역할을 하는데, 이때는 BYPASS 역할이라 합니다.
4.R또는 L과 결합하여 필터나 공진,동조회로로 사용하는 경우
이것도 기본적인 수식은 2번수식과 비슷합니다. R,C를 적당히 결합시켜 낮은 주파수만 통과시키는
LPF 와 높은주파수만 통과시키는 HPF, 특정주파수만 통과시키는 BPF, 특정주파수만 제거시키는
BRF등등을 구성할때도 콘덴서를 사용하죠. 그리고 L과 결합시켜 F = 1/2π√LC 라는 주파수에서
공진이 일어나게 만들어 발진회로를 구성한다든지 특정 주파수만 통과,제거(동조)역할을 할때도
콘덴서를 사용합니다.
같은 콘덴서지만 참 하는 역할이 많죠... 따라서 콘덴서 단독으로 보면 안되고, 주변 부품과 같이
어떻게 구성되었느냐를 따져봐야 합니다
